ⓒ 한국경제
관심을 모았던 더불어민주당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문재인 전 대표가 47.8%를 득표하면서 호남에 이어 또 다시 1위를 차지했다. 안방에서 반등을 노렸던 안희정 충남지사는 36.7%로 2위, 이재명 성남시장이 15.3%로 3위를 기록했다.
결과만 놓고 보자면 과반에 육박한 득표율로 1위에 오른 문 후보의 대세론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문 후보가 야권의 심장부인 호남에서의 압승으로 '야권의 적통' 지위를 차지한데다, 이번 중원 싸움의 승리로 대선 가도의 확실한 교두보를 확보했다는 평가다.
충청은 안 후보의 홈그라운드라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아무리 조직력에서 앞서는 문 후보라 할지라도 권리당원과 대의원 투표 비율은 ARS(모바일) 투표 비율에 비할 바가 못된다.
실제 문 후보가 획득한 권리당원·대의원 합산 득표수는 3361표에 불과하다. 이는 문 후보가 충청에서 받은 전체 득표수인 6만645표에 한참을 못미친다. 결국 그동안 중요 선거마다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해왔던 충청 민심이 문 후보의 손을 들어줬다는 얘기다.
반면 안 후보로서는 기대가 컸던 만큼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충청은 안 후보의 안방과도 같은 곳이었다. 호남에서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안 후보가 자신감을 내비칠 수 있었던 것도 두번째 경선지역이 바로 충청이기 때문이었다. 안 후보는 충청에서 이기거나 적어도 박빙의 승부를 펼치고, 영남에서 버티며 수도권에서 승부를 보겠다는 요량이었다.
그러나 텃밭인 충청에서 2위에 그친데다 격차마저 상당해 남은 경선 일정이 험난해지게 됐다. 더구나 다음 경선지역인 영남은 안 후보 스스로도 가장 취약하다고 여기고 있는 곳이다. 영남 순회경선은 이 지역에 연고가 있는 문 후보와 이 후보가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예측이다. 안 후보의 추격전이 쉽지 않아 보이는 배경이다.
3위를 기록한 이 후보 역시 발등에 불이 떨어지기는 매한가지다. 호남에서 0.6% 포인트 차이로 아깝게 3위를 차지했던 이 후보는 충청에서 15.3%를 득표하는데 그쳤다. 이에 안 후보와의 격차가 오히려 7.8% 포인트로 벌어지며 2위 탈환이 절실한 이 후보 진영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 오마이뉴스
두 차례의 경선 결과는 문 후보의 대세론이 여전히 굳건하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러나 충청 표심 결과를 면밀하게 들여다보면 경선의 흐름과 관련해 미묘한 변화도 감지된다.
일단 충청에서 문 후보의 과반이 무너졌다. 안 후보와 이 후보의 득표율을 합산하면 52%다. 반면 이번 충청 순회경선을 포함한 문 후보의 누적 득표율은 55.9%로 호남 경선 당시보다 4.3% 포인트 하락했다. 문 후보가 충청에서 과반 달성에 실패하면서 결선투표에 대한 여지가 생겼다는 뜻이다.
이날까지 전국 순회경선 일정의 절반이 진행된 가운데 아직까지 남아있는 선거인단의 비율은 60%에 달한다. 만약 문 후보의 과반 득표를 저지할 수만 있다면 결선투표에서 대역전의 드라마를 쓸 수 있는 기회가 열린다. 결국 승패는 수도권(강원·제주 포함)에서 판가름 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선거인단의 56%가 몰려있는 수도권은 이번 경선의 최대 승부처다. 안 후보와 이 후보가 끝까지 승부를 포기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와 관련 현재 3위에 머물고 있는 이 후보가 얼마나 선전할 수 있을지가 관전 포인트다.
호남 경선 이후 이 후보의 선거전략은 충청에서 버티고 영남에서 반등의 전기를 마련해 수도권에서 승부를 걸겠다는 복안이었다. 그렇게 본다면 이 후보가 조직도 연고도 없는 충청에서 기록한 15.3%의 득표율은 유의미한 수치라고 볼 수 있다. 전략대로 버티기에 성공한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20~30세대 젊은 유권자가 몰려있는 수도권은 이 후보에 대한 지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이다. 만약 수도권에서 문 후보의 과반 득표를 막아내고 결선 투표까지 승부를 끌고갈 수만 있다면 상황은 예측불허의 새로운 국면으로 돌입하게 된다. (이는 안 후보 역시 원하는 시나리오다)
호남 순회경선에서 문 후보가 압도적으로 승리한 이후 당안팎에서는 남은 경선이 김이 빠진 가운데 진행될 것이라는 우려가 터져 나왔다. 그러나 충청에서 문 후보가 과반 달성에 실패하면서 오히려 경선이 역동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경선 흥행은 본게임에도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는 민주당을 웃게 만드는 호재다.
싱겁게 끝날 줄 알았던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이 결국 마지막까지 가봐야 승패를 알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문 후보가 호남과 충청에서 이겼지만 끝까지 안심할 수 없는 형국인 것이다. 다음 경선은 오는 31일 영남에서 펼쳐진다. 문 후보의 우세가 점쳐지는 가운데 두 후보가 어떤 반전을 써내려갈지 지켜볼 일이다.
♡♡ 바람 언덕의 정치 실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클릭)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근혜 '사면설' 솔솔, 적폐 청산의 당위는 어디가고? (3) | 2017.04.01 |
---|---|
파죽지세 안철수, 그가 직면한 딜레마 (4) | 2017.03.31 |
충청 경선결과에 민주당이 웃고 있는 이유 (4) | 2017.03.30 |
대세론 꺾기 위한 비문 연대, 과연 성사될 수 있을까? (3) | 2017.03.29 |
친문 패권주의란 유령과 싸우고 있는 국민의당 (1) | 2017.03.28 |
우병우 수사에 검찰 조직의 명운이 달렸다 (2) | 2017.03.25 |
치열한 경쟁이 좋습니다. 싱겁게 끝나버리는 국민의당과 비교할 때.
남은 일정이 영남과 수도권이지요. 영남권은 문재인 안방이니 호남보다
더 많은 득표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수도권도 50%는 얻을 것으로 보이지만 뚜껑은 열어봐야죠.
물론 제가 지지하는 후보는 따로 있지만
그래도 드라마틱한 경선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국민의 당과 바른정당, 자유당이 단일 후보를 도모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칫 싱겁게 끝난다면 저들의 지지층이 결집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컨벤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결선 투표 가는것이
유리할것입니다
또한 결선에서 아름답게 승복하고...
예상한대로 갈지 두고 볼일입니다
구설수를 조심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정말 국민의 존경받는 지도자가 뽑혔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