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이용마 기자가 꿈꾸던 세상, 그의 도전은 끝나지 않았다

ⓒ 고발뉴스

 

"이제 제 생명의 불꽃이 조금씩 소진되는 걸 느낍니다. 더 늦기 전에 마지막으로 (항암치료에) 도전을 해보려고 합니다. 결과가 어떻게 나올진 알 수 없고 인명은 재천이라고 하니까 하늘의 뜻에 맡기고 운명을 받아들일 줄 아는 것이 우리가 해야 될 겸손함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자신에게 허락된 시간이 얼마남지 않았다는 걸 알고 있었을까. 연단에 오른 그의 목소리는 가늘게 떨리고 있었다. 건강했을 때의 몸을 기억하는 이들에게 상할대로 상한 그의 얼굴은 무척 낯설게 느껴졌다.  수척해진  육신은 병마에 시달린 지난 날들을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었다.

2017년 12월 1일 저녁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사 3층 청암홀에서 열린 '리영희상' 시상식. 실천지성으로 불리는 리영희 선생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리영희상'의 5회 수상자로 MBC 이용마 기자가 선정됐다.

신인령 '리영희상' 심사위원장(이화여대 명예교수)은 "온갖 역경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소신과 투쟁현장을 지킴으로써 방송민주화 투쟁의 상징이 되었기 때문"에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역경', '소신', '투쟁'은 그를 생각하면 자연스레 떠오르는 말이 됐다.

2012년 전국언론노조 MBC본부의 170일 파업 당시 노조 홍보국장이었던 이용마 기자는 파업 종료 이후 박성제·박성호·이상호 기자, 정영하 노조위원장, 최승호·강지웅 피디 등과 함께 해고됐다. 그것도 가장 먼저. 사내질서를 어지럽혔다는 이유에서였다.

해직 이후 법정공방이 시작됐다. 끝이 보이지 않는 고단한 싸움이 이어졌다. 사측을 상대로 한 해고무효 소송에서 법원은 해직기자들의 손을 들어줬다. 1심과 2심 모두 파업의 정당성이 인정된다며 원고 승소 판결을 내린 것이다. 그러나 사측은 단호했다. 그들은 해직기자들의 복직을 허락하지 않았다.

이용마 기자가 MBC에 복귀한 건  2017년 12월 11일이다. 사측으로 부터 부당 해고 통보를 받은 지 무려 5년 9개월 만이다. 정권이 교체되고 파업에 함께 했던 최승호 전 <PD수첩> PD가 MBC 대표이사가 되고 나서야 비로소 그는 꿈에 그리던 곳으로, 동료들이 기다리던 곳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휠체어를 타고 복직하던 날 이용마 기자는 "해고되던 그 날 이후로 단 한 번도 오늘이 올 것을 의심해본 적 없다. 우리는 정정당당한 싸움을 했고 정의를 대변했다고 생각한다. 막상 현실이 되고 보니까 깨고 싶지 않은 꿈 같다"며 모처럼 활짝 웃었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그는 치료를 위해 다시 회사를 떠나야했다. 5년 9개월의 기다림 끝에 극적으로 복직했지만 몸은 이미 쇠약해질대로 쇄약해져 있었다. 병마는 건강하던 그를 일순간에 집어삼켰다. 가시지 않는 울분과 분노, 원망과 회한이 그의 몸을 돌이킬 수 없게 만든 것이리라.


이용마 기자가 해직한 기간은 언론의 암흑기로 불리던 시기였다. 방송의 독립성과 자율성이 무너지고, 권력의 그림자가 언론의 공정성을 가로막았던 그 때, MBC는 얼마 전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의 언론특보로 임명된 김재철 사장 체제로 운영되고 있었다.

김재철 사장의 재임기간은 2010년 2월 26일부터 2013년 3월 26일까지 만 3년이다. 그 시기 MBC는 방송의 공공성을 무시한 노골적인 정권 편들기로 각계의 비판을 받았다. 시민들은 한때 신뢰도 1위를 달리던 방송사였던 MBC에게 '정권의 혓바닥'이라는 치욕스런 오명을 붙여주었다.

철저한 'MB맨'이었던 김재철 사장은 부임 이후 정치·사회 분야의 민감한 이슈를 다루는 시사프로그램을 대폭 축소·폐지시켰다. 대대적인 내부인사교체를 단행해 사내 주요 보직을 자신의 측근들로 채워나갔고, 사측의 독단을 비판하는 인사들을 보도국 밖으로 밀어냈다. 자신의 입맛, 아니 정권의 입맛에 맞는 방송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 오마이뉴스



무려 170일동안 이어졌던 파업은 이같은  사측의 전횡을 바로잡기 위한 몸부림이었다. 이용마 기자는 이 싸움의 선두에 섰다.

방송의 독립성 회복을 위해서, 불의에 맞서기 위해서, 그리고 기자로서의 양심과 원칙을 지키기 위해서 그는 '김재철 사장 퇴진'과 '공영방송 사수'를 외치고 또 외쳤다. 부끄럽지 않는 기자가 되기 위해서 기꺼이 한 몸을 내던진 것이다.

그러나 기자로서의 상식과 자존심을 지키고자 했던 댓가는 컸다. 사측은 파업을 주도한 이들을 콕 찝어 해고시켰다. 이후에 벌어진 일들은 주지하는 바다. 그는 사측과 또다시 힘겨운 싸움을 벌여야 했다. 많은 이들은 이때 받은 심적 고통이 그의 몸을 집어삼킨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마음이 아프면 몸도 아픈 법이다.

해직 이후 이용마 기자는 강의, 팟캐스트 방송 등을 통해 언론인의 사명과 본분을 일깨우는 일에 적극적으로 매달렸다.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후배들을 가르치는 일에도 열심이었다.

복막암 판정 이후에도 마찬가지였다. 남은 불꽃을 다 태우려는 듯 그는 열정적으로 몸을 불살랐다. 사회와 언론을 냉철하게 분석·비판한 저서 <세상은 바꿀 수 있습니다-지금까지 MBC뉴스 이용마입니다>를 펴냈고, 파업콘서트 현장을 찾아 동료들에게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회사에 있을 때나 떠나 있을 때나, 건강할 때나 그렇지 않을 때나 그는 천성 '기자'였다.

그의 별세 소식에 각계의 추모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 역시 페이스북에 "이용마 기자가 추구했던 언론의 자유가 우리 사회의 흔들릴 수 없는 원칙이 되고 상식이 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해 나가겠다"고 깊은 애도를 표했다. 이용마 기자가 걸었던 삶의 여정이 헛되지 않았다는 방증일 터다.

허수경 시인은 '슬픔만한 거름이 어디 있느냐'고 했다. 삶을 지긋이 관조해온 이라면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는 이 말이  오늘은 더없이 아련하기만 하다. 떠나기엔 아직 한창인 나이, 갑작스런 이별이 가슴 한쪽에 묵직한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탓일 게다.

“저는 제 아이들이 꿈을 가지고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자기들이 하고 싶은 일, 자기들이 즐기는 일을 하면서도 존중받고 인정받을 수 있는 그런 사회에서 살았으며 좋겠습니다. 안타깝게도 아직 그런 사회가 되기에는 갈 길이 먼 것 같습니다. 그 모든 일들이 사실 우리가 해야 될 과제로 남아있는 것입니다. 자유와 평등이 넘치고 정의가 강물처럼 흘러 넘치는 사회, 아름다운 사회가 되기를 다시 한 번 꿈꿔봅니다."

'리영희상' 시상식에서 그는 꿈꾸는 세상을 넌지시 펼쳐보였다. 슬픔이 거름이 되기 위해서는 슬픔의 본질을 깨달아야 한다. 작별이 끝이 아닌 이유일 것이다. 환하게 웃고 있는 영정 속에서 그는 어쩌면 우리에게 이렇게 되뇌이고 있을지도 모른다. 끝난 것이 아니라고. "자유와 평등, 정의가 강물처럼 흘러 넘치는 아름다운 사회"를 꿈꾸는 이들이 있는 한, 도전은 계속될 것이라고.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 바람 언덕의 정치실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클릭)